회의록을 불러오는 중입니다.

제302회 광주시의회(제1차 정례회)

도시환경위원회회의록

제2호

광주시의회사무국


일  시  2023년6월15일(목)

장  소  제2상임위원회회의실


  1. 의사일정
  2.   1.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
  3.   2.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

  1. 심사된 안건
  2.   1.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광주시장 제출)
  3.   2.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광주시장 제출)
  4.    가. 농업기술센터
  5.    나. 미래전략사업본부
  6.    다. 도시발전국
  7.    라. 맑은물사업소
  8.    마. 국토교통국
  9.    바. 환경문화국

(10시 02분 개의)

○위원장 이주훈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302회 광주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도시환경위원회 개의를 선포합니다.

  1.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광주시장 제출) 
  2.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광주시장 제출) 

(10시 02분)

○위원장 이주훈  의사일정 제1항,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부터 의사일정 제2항,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까지 2건을 일괄 상정합니다.
  의사일정에 따라 농업기술센터, 미래전략사업본부, 도시발전국, 맑은물사업소, 국토교통국, 환경문화국 순으로 심사하겠습니다.
  아울러, 지난 회계연도의 예산집행이 적정하였는지에 대하여 위원님들의 심도 있는 심사를 당부드립니다.
  이제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서는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리 정돈)

   가. 농업기술센터 
○위원장 이주훈  농업기술센터 소관 사항에 대하여 심사를 시작하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께서는 나오셔서 제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한정인  농업기술센터 소장 한정인입니다.
  제안설명에 앞서 우리 시 농업분야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도시환경위원회 이주훈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농업기술센터 소관 2022년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하여 제안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액은 280억 7286만 6970원을 편성, 이 중 231억 7527만 3230원을 집행하였고 28억 6268만 7690원을 금년도로 이월하였으며, 총 예산액의 7.24%에 해당하는 20억 3490만 6050원을 불용처리하였습니다.   이월사업비 세부현황으로는 로컬푸드 복합센터 건립공사사업 22억 8710만 2690원을 계속비로 이월하였으며, 로컬푸드 활성화사업, 말 산업, 청년인턴 취업지원 및 월동 봉군 피해 양봉농가 지원사업으로 5억 5677만 5000원을 명시이월하였고 로컬푸드 활성화 사업 1881만 원을 사고이월하였습니다.
  불용액의 세부사항으로는 보조사업 집행잔액 10억 7154만 4030원과 그외 경상경비 절감 및 각종 사업비 집행잔액, 시설비 및 자산취득비 낙찰차액 등에 따른 집행잔액 9억 6336만 202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기타특별회계 결산현황으로 주민지원사업 특별회계 예산액으로 14억 3473만 1,000원 중에 1억 5000만 원을 집행하였고 12억 8473만 1000원을 예탁금으로 예금 처리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 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답변이 있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오현주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농업정책과 과장님께 질문드리겠습니다.
  결산서 311쪽인데요. 비료 가격안정 지원사업이 있는데, 보조금과 집행잔액을 합치면 총 집행액이 한 50% 남짓이거든요.
  이 사업은 어떤 사업인데 이렇게 반납액이 많은 건지 알 수 있을까요?
○농업정책과장 김민수  저희가 유기질비료 말고 무기질비료 공급사업이 작년에 첫 시행이 됐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수요조사를 농협 판매액 3년치 평균의 95%, 1479톤 대비해서 예산 수요를 조사를 했었는데 실상 이걸 판매를 하다 보니까, 실수요가 785톤만 판매가 됐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저희도 분석을 좀 하고는 있습니다만 왜 평년도보다 줄었는지 또 하나는 좀 과다하게 내시해 준 그런 부분이 좀 있었습니다.
오현주 위원  이 사업은 올해도 진행되는 거죠?
○농업정책과장 김민수  예, 올해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오현주 위원  올해도 사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정책과장 김민수  작년에 처음 시작했으니깐요. 시행착오가 있었다고 보고 올해는 작년도 실수요량에 맞춰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과장님, 농업정책과에는 거의 국도비 지원사업으로 해서 같이 하는 매칭 사업들이 많은 것 같은데, 보조금 반납액이 한 9억 3000여만 원이에요. 그래서 국도비 보조사업들은 최대한 보조금 반납을 최소화시켜 주시는 것이 저희 시민들에게 수혜가 가는 거 잖아요. 그래서 올해 사업에는 보조금 반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대상자나 수혜자 발굴에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농업정책과장 김민수  작년 같은 경우는 코로나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급식비가 예산이 많이 남았습니다. 그러니까 학교급식 일수가 줄다 보니까 그런 부분이 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튼 올해는 최대한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농가들에 독려를 해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노력하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감사합니다. 아무튼 수고 많으십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농업기술센터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서는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리 정돈)

   나. 미래전략사업본부 
○위원장 이주훈  미래전략사업본부 소관 심사를 시작하겠습니다. 미래전략사업본부장님께서는 나오셔서 제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래전략사업본부장 김광윤  안녕하십니까? 미래전략사업본부장 김광윤입니다.
  제안 설명에 앞서 시민의 곁을 지키는 든든한 의회를 위하여 노력하고 계시는 도시환경위원회 이주훈 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미래전략사업본부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 드리겠습니다.
  2022년도 미래전략사업본부 일반회계 세출예산액은 1950억 3335만 5810원을 편성하여 1368억 8569만 2420원을 집행하고 563억 3046만 2520원을 이월하였습니다. 집행잔액은 17억 8597만 4060원입니다.   이월사업비 세부현황은 물놀이 수경시설 조성사업 등 명시이월사업 6건에 24억 2007만 2160원을, 공원 조정계획 수립, 도시관리 계획 결정용역 등 사고이월 1건에 3014만 3100원을 광주역세권 2단계 도시개발사업 등 계속비 이월사업 84건에 538억 8024만 7260원을 이월하였습니다.   다음은 2022년도 기타특별회계 결산현황으로서 예산액은 1721억 6583만 3800원으로 1556억 735만 6750원을 집행하였고, 곤지암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등 2개 사업 60억 4224만 2120원을 명시이월로, 송정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4개 사업 51억 702만 3550원을 계속비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은 54억 921만 1370원입니다.
  이상으로 미래전략사업본부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기타 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답변이 있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오현주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미래도시사업과 과장님께 여쭙겠는데요.
  자료 323쪽에 보면, 도시개발 업무추진비가 한 3억 정도 잡혀 있거든요. 이게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미래도시사업과장 최정환  도시개발 업무추진비 3억 부분에 대해서는 저희가 기존 역세권 개발을 하면서 GH랑 도시관리공사, 광주시가 공동으로 실무협의라든지 이런 걸 할 때 GH 부분을 해서 잡아 놓은 거고요. 저희가 실제로는 회의 때 사용한 금액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주로 그런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현주 위원  지출액이 3억인데요?
○미래도시사업과장 최정환  실무협의하고 거기에 또 이번에 역동 e편한세상 교차로 공사관계 있어가지고 예비비로 해서 쓰고 그런 부분이 좀 있습니다.
오현주 위원  알겠습니다. 도로사업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과장님, 결산서 324쪽 보면 도로사업과 이월액 총액이 한 448억 정도 됩니다. 도로사업과는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사업들이 많아서 그럴 거라고는 생각하는데요. 그래도 신규사업들도 매년 늘어나고 그래서 업무 관리에도 많이 힘드실 거라는 생각은 합니다. 그래도 너무 장기적으로 지지부진한 사업은 있지 않은지 그래서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시는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도로사업과장 안병하  말씀하신 바와 같이 장기계속사업들이 많다 보니깐 이월 사업들이 계속 있는데, 저희가 20년도 초반부터 현재까지 매년 축소를 시키고 있습니다. 이월금에 대한 부분을요. 그래서 작년에서 올해로 넘어온 게 한 400억 정도 되는데 매년 한 100억 정도씩을 줄여가고 있고 향후에는 저희가 사업에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갖고 이월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예산관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이은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이은채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은채 위원  오현주 위원님께서 질의하신 부분에 대해서 좀 추가적으로 당부 말씀을 드릴게요.
  도로사업과에서 역동 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는 불용됐는데 거기는 다시 추가적으로 하시는 건가요, 안 하시는 건가요?
○도로사업과장 안병하  이거는 원래 잔여지 보상 목적으로 민원인이 신청을 했다가 본인이 보상금이 안 맞는다 그래 가지고 파기가 된 계약이 돼서 이 금액이 불용이 된 사안인데요. 그 당시 예산을 세웠을 때에는 본인이 받겠다고 했는데, 평가하고 나니까 또 마음이 바뀌어 가지고 그런 사안이라서, 이런 건들에 대한 건 좀 더 긴밀하게 관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은채 위원  그러면 그 사업은 수용을 해서라도, 도시계획도로니까.
○도로사업과장 안병하  도시계획도로는 사업을 가고요. 잔여지 매수부분 때문에 세웠던 예산인데 잔여지 매수부분은 사실 사업구간에 포함이 안 되는 부분인데 이제 토지주가 매각을 하겠다 그랬다가 마음이 바뀌는 바람에 이런 일이 발생한 사안이 되겠습니다.
이은채 위원  좀 더 면밀히 검토를 하시고 예산을 편성을 해야 할 부분일 것 같아요, 이게 또 다른 사업에 사용도 해야 되니까. 그리고 우리 도로사업과에서 특히나 계속비사업이 많은, 이 미래전략사업본부 자체가 계속비사업이 굉장히 많잖아요. 근데 계속비사업을 함에 있어서도 이월된 금액도 다 전부 못 쓰는 경우가 많아요.
  도로사업과를 예를 들면, 퇴촌 농협 앞에 도로도 당초예산 편성한 거 말고 전년도 이월사업비 조차도 다 사용을 못하는 경우였거든요. 근데 이런 계속비사업을 함에 있어서 사업의 시기에 잘 맞춰서 추경에 편성을 하든 이렇게 할 수 있는 건 계속비 사업을 저희가 이해를 못하는 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시에 예산 투입할 곳이 많다 보니까, 적시에 편성을 할 수 있도록 검토를 해 주시기를 당부드리겠습니다.
○도로사업과장 안병하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은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시면 미래전략사업본부장님께 말씀드리겠습니다.
  미래전략사업본부는 도시개발도로, 공원조성 등 시민분들의 정주여건에 밀접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주역세권 그리고 초월역세권, 곤지암역세권 등의 체계적인 도시개발이라는 중요 과제에 당면한 사항으로 폭넓은 주민의견의 청취와 신속한 업무처리를 통해서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하시고 공적 이익을 극대화하여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미래전략사업본부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서는 자리를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리정돈)

   다. 도시발전국 
○위원장 이주훈  그럼 도시발전국 소관 심사를 시작하겠습니다.
  도시발전국장님께서는 나오셔서 제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발전국장 신명호  안녕하십니까? 도시발전국장 신명호입니다.
  제안 설명에 앞서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시는 도시환경위원회 이주훈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도시발전국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1451억 8151만 6580원으로 이 중 821억 3052만 9140원을 집행하고 615억 1024만 1080원은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은 14억 3302만 9970원입니다.   이월사업비 세부 현황으로는 광주시 도시계획변경 운영 지침 수립 용역,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사업 등 9개 사업에 34억 9976만 4380원을 명시이월하였고 국공유재산 실태 용역 사업에 8657만 5920원을 사고이월하였으며, 구청사 복합건축물 건립, 광남동 행정복합문화시설 건립, 종합운동장 건립 등 총 24개 사업에 579억 2390만 780원을 계속비이월하였습니다.
  다음은 기타특별회계 결산현황입니다.
  도시발전국 소관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대지보상 특별회계와 건축안전 특별회계의 총 예산액은 1억 4489만 3000원으로 1억 93만 5700원을 집행하였고 집행잔액은 4395만 7300원입니다.   이에 세부사항은 심의 시 상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으며 이상으로 도시발전국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 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답변이 있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오현주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지역개발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통합결산서 261쪽인데요. 지역개발과 전체 예산현액 총액을 보면 736억 중에, 지역개발과 아닌가요? 죄송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오현주 위원님 다시 정정해서 발언하세요.
오현주 위원  제가 조금 착각했습니다. 주택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결산서 290쪽을 보면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사업이 있는데, 이 사업은 월별로 진행되는 사업이 아닌가요?
○주택과장 신종범  한시적으로 국토부에서 24년까지 지원하는 대상입니다. 대상자가 시에서 처음 조사할 때 한 100명 정도 해서 매월 지급을 하고 있어서 24년까지 한시적으로만 진행을 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오현주 위원  알겠습니다. 건축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291쪽인데요. 기존 건축물 화재안전 성능보강 지원사업에 대해서 질의드리겠습니다. 예산현액의 90% 이상이 명시이월 됐거든요. 이 사업의 주요내용과 이월사유 및 향후계획에 대해서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축과장 박기주  지원대상은 어린이집이라든지, 지역아동센터, 학원 등의 건물 대상자가 되겠는데요. 자부담이 20%가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경영악화로 부담이 되니까 신청 안 하는 경우가 많아 가지고 이월됐고 이게 한시적으로 22년 12월 31일로 끝났는데요. 이게 4월 18일 날 건축물 관리법이 개정돼서 25년 12월 31일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가지고 지금부터 다시 추가 대상지를 선정해서 추진하고자 합니다.
오현주 위원  자부담이 있는 사업인가요?
○건축과장 박기주  예, 자부담 20%가 있습니다.
오현주 위원  그래도 안전에 관한 문제잖아요. 그래서 사업대상자 적극 발굴해 주셔서 올해는 적극 추진해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건축과장 박기주  알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과장님, 그리고 결산서 409쪽에 건축안전 특별회계가 신설되었던데요. 이게 100% 일반회계 전입금을 통해 운영되는 걸까요?
○건축과장 박기주  예, 그렇습니다.
오현주 위원  특별회계 설치사유와 집행되는 사업들은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건축과장 박기주  건축안전센터 말씀하시는 거죠?
오현주 위원  건축안전 특별회계.
○건축과장 박기주  이건 국비사업입니다. 대상이 관내 공사장에서 안전취약 건축물의 안전점검, 대형건축물의 설계 검토 업무를 위해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오현주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예,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박상영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박상영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상영 위원  공공사업과장님께 질의하겠습니다.
  294쪽 좀 봐주세요. 용수리 교각 체육시설 조성사업인데, 이거 혹시 한 거 아니에요?
○공공사업과장 최보오  예, 한 겁니다. 끝난 사업인데 22년도 거기 때문에 사업한 겁니다.
박상영 위원  근데 불용으로 해놔 가지고.
○공공사업과장 최보오  이 사업은 된 사업입니다.
박상영 위원  이게 특교 갖다 한 거죠?
○공공사업과장 최보오  예.
박상영 위원  했는데 안 한 걸로 얘기를 해갖고 제가 질문 좀 드렸습니다. 거기 족구장하고 돼 있는데 거기 말 하시는 거죠?
○공공사업과장 최보오  예, 그렇습니다.
박상영 위원  알겠습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할 위원 없습니까?
이은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예, 이은채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은채 위원  우리 공공사업과 과장님께 질의라기보다는 당부 말씀드리겠는데요. 우리 대형 사업들이 굉장히 많잖아요. 거의 대부분 자체재원으로 지금 사업을 하고 있는데, 앞으로 우리가 의존재원을 얼마만큼 받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시고, 또 추진내역이 있으시면 말씀 좀 부탁드릴게요.
○공공사업과장 최보오  이제 경기도라든지 특교세, 특조금 같은 게 있는 경우에는 저희가 항상 신청을 하고 있고요. 경기도에서 공모사업 관련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제 도심지에서 어떤, 하는 거 작년 같은 경우는 100억 하는 게 있었는데, 하다가 진행이 멈춰 있는 상태인데요.
  저희가 그래서 구청사 같은 경우 100억 신청을 한번 했었었고요. 그래서 저희가 관련되는 분야가 있다고 하면 저희가 공모와 관련된 모든 부분은 지금 신청을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그 예전에 SOC 사업 같은 경우는 보통 국도비가 다 내려와서 저희가 그 부분을 공모사업으로 해서 다 했던 사업인데 종합운동장이라든지, 구청사라든지 그런 상당히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현재 별도로 의존재원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좀 전에 말씀드렸던 도나 어떤 그런 상황이 될 때 항상 저희가 접수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은채 위원  많은 노력을 함에도 불구하고, 저희가 국도비 지원받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지원받아봐야 그냥 몇십억 저희 사업의 일부  작은 금액을 받을 수밖에 없는 그런 입장도 알고는 있지만 저희가 대규모 사업이 워낙 많다 보니까, 의존재원 확보에 조금 더 노력해 주시기를 당부드리겠습니다.
○공공사업과장 최보오  예, 열심히 하겠습니다.
이은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으시면 본 위원이 주택과장님께 좀 말씀드리겠습니다.  과장님 페이지 289페이지인데요. 거기 2022년 범죄예방 도시환경 디자인사업, 이거 셉티드(CPTED) 사업이잖아요. 이거는 지금 5억에서 지금 3600만 원 집행하신 걸로 돼 있어요. 이거는 뭐죠?
○주택과장 신종범  범죄예방 너랑 나랑 노랑안심 곤지길 얘기인데요. 당초에 설계비만 현재 집행되고 그리고 금년까지 이월돼서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사업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이거 다음 달 쯤에 시작하실 예정이신 거죠?
○주택과장 신종범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이주훈  이게 예전에는 이런 사업을 하면 단순히 벽화 좀 그리고 그런 수준에서 머물렀던 것 같아요. 근데 최근에는 좀 더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니까 추후에 이런 부분에 대한 사업을 추가적으로 더 발굴을 해 주시고 사업에 반영을 하실 때 범죄심리학적 이론들이 있잖아요. 그런 부분들을 예방적 차원에서 반영을 하셔 가지고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택과장 신종범  예,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이주훈  끝으로 도시발전국 국장님께 당부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광주시 도시계획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도모하고 구청사부지 복합건축물 건립과 각종 행정복합문화시설 건립사업 등 공공사업을 추진하심에 있어서 사업관리에 철저를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인허가 민원업무처리 시 신속 정확한 행정처리로 시민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 주시기를 당부드리겠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이상으로 도시발전국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서는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리 정돈)

   라. 맑은물사업소 
○위원장 이주훈  맑은물사업소 소관 사항에 대하여 심사를 시작하겠습니다. 맑은물사업소장께서는 나오셔서 제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맑은물사업소장 한용우  안녕하십니까? 맑은물사업소장 한용우입니다.
  제안설명에 앞서 평소 41만 시민의 복리증진과 시정발전에 의하여 노력하고 계시는 도시환경위원회 이주훈 위원장님과 위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맑은물사업소 소관 2022회계연도 공기업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하여 제안 설명드리겠습니다.
  2022년도 상수도사업 특별회계 세입결산 총액은 1103억 1693만 원이며, 세출결산 총액은 690억 2808만 원으로 순세계잉여금 143억 6447만 원을 포함한 404억 815만 원의 자금이 2023년으로 이월되었습니다.   자산총계는 전년보다 9억 5776만 원이 감소한 4211억 2224만 원이며 당기순손실은 48억 8743만 원이 발생하였습니다.
  다음, 하수도사업 특별회계 세입결산 총액은 2018억 8146만 원이며, 세출결산 총액은 1322억 3590만 원으로 순세계잉여금 469억 776만 원을 포함한 696억 4555만 원의 자금이 2023년도로 이월되었습니다.
  자산총계는 전년보다 265억 3454만 원이 증가한 6245억 8523만 원이며, 당기순손실이 51억 8265만 원 발생하였습니다.   위원님들의 많은 이해와 협조로 원안대로 의결해 주신다면 보다 안정적이고 건전한 재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맑은물사업소 소관 2022회계연도 공기업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한 제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답변이 있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시면 본 위원이 맑은물사업소장님께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오포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이 많은 어려움 끝에 지난 5월 17일 준공식을 개최하게 됐습니다. 증설사업 완료에 따라서 오포지역의 하수처리 능력이 증대되어서 주민들의 삶의 질이 매우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주신 맑은물사업소 그리고 특히 시설부서의 직원분들 관계자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시민분들께서 원활한 생활용수 공급과 적절한 하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주·용인 공동취수장 증설사업 및 경안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등 환경기초시설 관련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맑은물사업소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서는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리 정돈)

   마. 국토교통국 
○위원장 이주훈  국토교통국 소관 심사를 시작하겠습니다. 국토교통국장님께서는 나오셔서 제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토교통국장 이송호  안녕하십니까? 국토교통국장 이송호입니다.
  제안 설명에 앞서 41만 시민의 복리증진과 시민의 곁을 지키는 튼튼한 의회 구현을 위해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치시고, 특히 국토교통 분야에 격려와 성원을 아끼지 않고 계시는 도시환경위원회 이주훈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국토교통국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결산현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액은 2190억 3483만 2430원으로 1344억 3891만 1919원을 집행하였고, 766억 2670만 4150원은 금년도로 이월하였습니다. 집행잔액은 총 예산액의 2.4%에 해당하는 52억 8962만 원이 되겠습니다.   주요 이월사업으로는 수해복구사업 등 45개 사업 351억 6078만 666원을 명시이월하였고, 노후 마을진입로 확포장사업 등 11개 사업 23억 801만 4604원을 사고이월하였으며, 쌍령천 소하천정비사업 등 13개 사업 391억 5790만 8880원을 계속비 이월하였습니다.
  집행잔액 세부사항으로는 각종 공사와 용역 입찰에 따른 집행잔액 등 48억 2538만 121원, 국도비 보조금 정산잔액 4억 6423만 9879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기타 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국토교통국 소관에 도시재생특별회계와 교통사업특별회계 예산액은 395억 6507만 1810원으로 236억 4603만 4160원을 집행하였고, 경안동 근린생활형 소규모 체육관 건립사업 등 14개 사업 111억 3872만 8170원을 금년도로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은 47억 8028만 4480원이 되겠습니다.
  이외 세부사항에 대하여는 심의 시 상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투명하고 합리적인 회계 지출로 보다 안정적이고 건전한 재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이상으로 국토교통국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답변이 있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오현주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지역개발과 과장님, 질의드리겠습니다.
  결산서 261쪽인데요. 지역개발과 예산총액을 보면 736억 중에 이월액이 530억 정도로 집행률이 한 30% 미만입니다. 작년에 수해복구 때문에 굉장히 힘드셨고 올해도 고생하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집행률을 높이기 위해서 부서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역개발과장 김진구  지역개발과장 답변드리겠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희가 이월사업 그 다음에 집행률이 저조한 상황입니다. 크게는 수해복구사업이 지난해 말에 대부분 내려와서 그 부분은 불가피하게 공기 부족으로 인해서 이월을 했던 부분이었고요. 나머지 부분들은 사업에 따른 집행잔액, 그다음에 사업을 진행하면서 토지소유자의 사용 동의가 없어서 사업을 포기한 경우 또 죄송합니다만 이월을 저희가 잘못 진행됨으로 인해서 행정적인 오류로 한 부분도 있어서 그렇게 되겠습니다. 지난해 말에 편성된 수해복구사업이 이월된 부분이  금액이 가장 크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과장님은 힘드시겠지만, 사업 조속히 마무리할 수 있도록 부탁드리겠습니다. 시민들이 체감하시기에는 ‘일이 너무 더디다’, ‘일 안 한다’, 이런 얘기 나오지 않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역개발과장 김진구  죄송합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이상입니다.
  도로관리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결산서 266쪽 보면, 자동염수분사장치 설치사업 특별교부세로 받으셨던 것 같은데, 예산 6억 전액이 명시이월되었습니다. 이월사유와 현재까지 추진사항,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서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266쪽 말씀하시는 거죠?
오현주 위원  예.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그 6억은 지금 영동리 쪽에 설치가 지난달에 완료됐고요. 사업이 연말에 나왔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월하게 됐습니다. 교부세가 그때 늦게 나와서.
오현주 위원  알겠습니다.
  교통과 과장님, 894쪽인데요. 성과보고서에 시내버스, 마을버스 노선신설·증차를 성과지표에 넣으셨는데 목표가 5대고 실적이 17대로 달성률이 340%가 됐습니다. 좋은데, 다른 성과지표에 비해서 목표율을 너무 낮게 잡으신 것은 아닌지, 너무 보수적으로 잡으신 것은 아니신지?
○교통과장 김수라  예, 그런 부분이 있는 것 같아서 올해는 아예 바꿨습니다.
오현주 위원  올해에도 적극 추진 부탁드리겠습니다.
  산림과 과장님 277쪽인데요. 자연휴양림 조성사업 관련해서 질의드리겠습니다. 22년도 수립한 예산 70억 원 사업비가 전액 이월 됐습니다. 그 이월 사유와 현재까지 추진 현황, 앞으로의 계획 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산림과장 고형근  산림과장 보고드리겠습니다. 현재 자연휴양림은 행정절차 이행 때문에 조금 이월된 사항이고요. 올해 먼젓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소규모 환경영향평가가 끝나면 바로 7월 달부터 승인을 받아서 착공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오현주 위원  올해 7월에는 착공하는 건가요?
○산림과장 고형근  지금 착공계획은 있는데요. 행정절차가 빨리 좀 조속히 마무리돼야 되는 사항이 있어서 환경청하고도 지속적으로 협의 중입니다.
오현주 위원  이렇게 자연휴양림처럼 행정절차 등 때문에 시간이 필요한 기일이 필요한 것들은 사업시기에 맞춰서 예산편성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산림과장 고형근  예, 알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이은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이은채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은채 위원  당부 말씀드리겠습니다. 국토교통국에 세입부서가 몇 부서 있어요. 성과지표에 그 세입에 관한 이런 성과지표명을 해놓고, 달성을 못 하고 계시잖아요. 우리 시가 세입부분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징수과에서 총괄로 해서 받고는 있지만 우리 초기 부과부서에서 적극적으로 좀 더 징수대책과 납부완료까지 좀 책임을 지는 이런 대안을 마련하셔서, 올해에 성과달성 다 못 하셨는데요. 세입 부분에는 다 못 하셨어요, 보니까. 그 부분에 조금 더 신경 써서 세입에 좀 더 많은 징수과까지 넘어가기 전까지의 완료까지 책임지고 해 주시기를 당부드리겠습니다.
○국토교통국장 이송호  예, 올해는 개발부당금TF팀이 구성돼서 지금도 한 백몇십 억도 부과하고 있고요. 그 다음 추경에도 79억 편성이, 세입을 줘서 추경이 편성된 거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먼저 이은채 위원님께서도 지적했듯이 TF팀 구성해서 많이 부과하고 있고요. 일반 자동차 과태료나 이런 거 최대한 징수를 높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이은채 위원  수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노영준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노영준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영준 위원  저도 당부 말씀 하나 드리겠습니다.
  우리 교통과에서 정말 아까 몇백%였죠? 340%였던 거 같은데, 사실 이게 국토교통국만의 문제는 아닐 거라고 당연히 생각을 하는데, 지금 저희 도환위 소속 기관 중에 초과달성 수가 가장 많아요.
  전체적으로 제가 봤을 때 너무나 보수적으로, 용역을 진행했을 때 당연히 할 수밖에 없는 그런 지표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런 것들이 장기적인 방향에서 과감하게. 혹시 이거 달성 못 하면 페널티가 큰가요, 국장님? 이거 혹시 달성률이 저조하게 되면 어떤 페널티들이 있나요?
○국토교통국장 이송호  징수율나 신속집행률이 저조할 때 우리 부서나 평가할 때 점수가 낮아져서 아마 우리 부서 평가나 국 평가에 조금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그런 것 때문에 사업 신속 집행률 또 기타 목표를 정해서 목표에 대한 정량화 평가 이런 평가지표가 있거든요. 저희가 신속집행에 점수 차가 많이 나면서 우리 사업부서의 이월사업도 많고 집행률이 저조하다 보니까, 우리 부서 평가에는 많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게 부서 평가에 좀 영향을 받습니다.
노영준 위원  아마 그런 환경 때문에 제가 봤을 때도 보수적으로 잡을 수밖에 없는 것도 이해는 하지만 그래도 과감하지는 않더라도 조금 더 노력해서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토교통국장 이송호  일반 업무평가는 달성률이 높은데 예산과 관련된 특히 징수율과 관련된 거는 주차과태료나 검사과태료, 의무보험과태료 이 성격이 일부 해태, 먼저 우리 행감 때 과장이 설명도 했지만 대포차가 많습니다. 왜냐 하면, 이건 법 제도상의 문제가 있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냐면 의료보험이나 의무보험이 3일 이상만 가입해도 차량등록을 할 수가 있어요. 그러니깐 보통 일반인들은 6개월, 1년 이상 가입을 하는데 법인이나 이런 데서 차를 구입을 해요. 그렇게 해놓고, 매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거를 조회해 보면 우리가 사법경찰관도 있지만 한 사람이 수백만 원씩 폐차도 안 하고 그 차가 중고차매매상사를 통해서 외국에 나가는 경우도 있고 이런 경우가 많아서 징수율이 떨어져요.
  일반 지방세나 이런 거는 정기분 부과하다 보니까, 과세자료가 정확하니까 징수율이 높은데 주차 과태료나 이런 거는 나름대로 민원도 많고 이런 면에서 징수율이 많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방안을 찾고 저희가 노력하겠습니다.
노영준 위원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우선은 절대 목표만 설정해 놓고, 거기까지만 하라는 것도 아니고 우리가 조금 더 효율적인 업무와 그리고 계속 누적돼서 일을 해 나가는 거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좀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런 지표들을 설정해서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으시면 본 위원이 도로관리과장님께 좀 말씀드리겠습니다.    과장님 우리 결산서 268페이지인데요. 여기 어린이·노인·장애인보호구역 개선사업과 그 밑으로 네 번째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이 있잖아요. 이게 어린이·노인·장애인보호구역 개선사업 같은 경우에는 마을에서 지정해 달라고 오면 해주시는 업무죠?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그렇죠.
○위원장 이주훈  그리고 밑에는 학교?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예, 맞습니다.
○위원장 이주훈  그러면 일단은 마을단위로 하시는 거는 현액 지출이 거의 어느 정도 맞아서 떨어지는 것 같아요. 사업을 거의 완료하신 걸로 보여지는데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같은 경우에는 전년에 사고이월 이런 식으로 금액이 한 절반가량 나와 있더라고요. 이게 이런 식으로 데이터가 나오는 이유가 뭐죠?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저희가 보호구역 지정해 놓고 사업하다 보면 거기에 개인 사유지도 있고 지장물도 있고 그러다 보면 그 연도에 사업이...
○위원장 이주훈  당해연도에 완료를 하시기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해서 이제 넘어가시는 거죠?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예.
○위원장 이주훈  지금 전년도에는 예산현액이 6억 4000이었어요. 올해로 이월해 가지고 지금은 얼마로 책정되어 있죠? 제가 자료를 좀 못 봤네요.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이건 별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위원장 이주훈  예, 그리고 지난번에 제가 행감 때 말씀드렸던 부분 있잖아요. 곤지암초등학교, 지난번에 도곡초등학교 같은 경우에는 바로 즉각적으로 조치해 주셔 가지고 학교 측에서도 굉장히 만족도가 높아요. 지금 곤지암초등학교도 약간 비슷한 상황이니까 그 부분도 각별히 신경을 써 주시기 바랍니다.
○도로관리과장 신현충  예, 제가 행감 끝나고 바로 다녀왔는데 보수가 많이...
○위원장 이주훈  벌써 다녀오셨어요? 고맙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시면 국토교통국장님께 말씀드리겠습니다.
  전년도에 우리 시는 긴급재난지역으로 선포되는 등 막대한 수해가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서 도로, 하천, 임야 등지에서 각종 수해복구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그 어느 부서보다도 노고가 정말 많으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금년도에도 장마철이 도래하고 있는 만큼 수해복구 조속히 마무리해서 향후 수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으로 임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국토교통국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서는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리 정돈)

   바. 환경문화국 
○위원장 이주훈  지금부터 환경문화국 소관 심사를 시작하겠습니다.
  환경문화국장께서는 나오셔서 제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문화국장 이용호  안녕하십니까? 환경문화국장 이용호입니다.
  제안 설명에 앞서, 평소 환경문화분야에 아낌없는 성원과 격려를 해 주시는 이주은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환경문화국 소관 2022회계연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결산안에 대한 제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결산현황으로 세출예산액은 총 1099억 9336만 원이며, 이 중 91.9%인 1011억 6685만 원을 집행하였고 29억 5623만 원을 금년도로 이월하였습니다. 집행잔액은 58억 7027만 원입니다.   주요 이월사업으로는 전기버스 보급사업, 생활폐기물 처리대행 용역 등 4개 사업에 19억 945만 원을 명시이월하였고, 어린이 통학차량 LPG차 전환사업 등 5개 사업에 10억 4677만 원을 사고이월하였습니다.
  불용액의 세부사항으로는 각종 공사와 용역추진에 따른 낙찰차액과 집행사유 미발생 및 집행잔액 41억 7896만 원, 국도비 보조금 반납액 16억 9131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기타특별회계 결산 현황입니다.
  기타특별회계 예산액은 총 640억 6366만 원으로, 이 중 84.5%인 541억 4659만 원을 집행하였고, 주민편의시설 지원사업 및 중대물빛공원 문화시설 건립 등 15개 사업에 78억 309만 원을 금년도로 이월하였으며, 보조금 반납액 집행잔액 21억 1397만 원을 불용처리하였습니다.
  이외의 세부적인 집행사항은 심의 시 상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으며 이상으로 환경문화국 소관 제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이주훈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답변이 있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이주훈  오현주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현주 위원  자원순환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결산서 250쪽인데요. 여기 인력운영비를 보면 무기계약직근로자 보수가 집행잔액이 2억 5500 가까이 돼요. 이것은 왜 그런 것인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원순환과장 박중신  답변드리겠습니다.
  무기계약근로자 보수는 공무직 환경미화원 보수인데요. 해당되는 사람에 대한 인건비에 대한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보통 근데 인건비는 이렇게 좀 정해져 있잖아요. 추계하실 때도 그런데 왜 이렇게 집행잔액이 큰 건지 다른 사유가 있는가 싶어서 여쭤봤습니다.
○자원순환과장 박중신  인건비는 총 예산액은 18억인데요. 현재 16억이 집행이 된 거고 2억 5500 집행잔액인데 저희가 근로자분들이 개인별로 인건비가 약간 보수가 높은 사항이라서 보수에 대한 시간외근무수당이라든지, 인건비 이런 사항이 전부 다 높다 보니까, 거기에 집행을 하다 보면 인건비가 일정 부분 남을 수 있습니다. 금년도에는 저희가 인건비를 한번 연말에 최종 점검해 가지고 집행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예, 그 말씀드리려고 했는데요. 자원순환과 일반회계 집행잔액이 총 25억 정도 됩니다. 아까 말씀드린 무기계약직근로자 보수 포함해서 이 정도 금액이면 다른 사업에 투입할 수 있을 만큼 큰 금액이라고 생각이 들거든요. 그래서 월별, 분기별 집행 추이를 파악하셔서 필요하다면 추경예산 편성 시 삭감할 수 있는 방안도 좀 마련해 주시고요. 그래서 다른 사업에 예산이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관리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원순환과장 박중신  예, 알겠습니다.
오현주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이주훈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본 위원이 환경문화국장님께 말씀드리겠습니다.    기후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직면해 있는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입니다.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실현을 위해서 각종 친환경사업을 적극 발굴·추진해 주시고 물환경 보전과 자원순환에도 힘써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2024년 세계관악컨퍼런스와 2026년 경기도 도민체전 유치와 관련해서도 우리 광주시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행사준비와 진행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없으므로, 이상으로 환경문화국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위원장 이주훈  의견 조정을 위해서 10분간 정회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10분간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 01분 회의중지)

(11시 03분 계속개의)

○위원장 이주훈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에 대하여 토론을 생략하고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원안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2항, 2022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에 대하여 토론을 생략하고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원안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것으로 오늘 상정된 안건이 모두 처리되었습니다.
  오늘 위원회 활동에 따른 의결사항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회부하여 종합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제302회 광주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도시환경위원회 산회를 선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1시 04분 산회)